공문서에서 날짜 어떻게 쓸까? (마침표, 요일 띄어쓰기)

공문서의 날짜 표기


공문서에 날짜를 쓰는 방법. 예를 들어 알아 보자.

2025년 7월 21일 월요일

위 날짜는 어떻게 써야 할까?


① 2025. 7. 21. (월)
② 2025. 7. 21(월)
③ 2025. 7. 21.(월)
④ 2025. 07. 21. (월)
⑤ 2025. 07. 21(월).



바른 표기는 아래와 같다.(v표는 띄어쓰기)

③2025.v7.v21.(월)


연.v월.v일.(요일)의 형식으로 쓰면 된다.

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.

  • 월: 01월, 02월은 없다. 그냥 1월, 2월이다.
  • 일: 01일, 02일은 없다. 그냥 1일, 2일이다.
  • 마침표: 연, 월, 일 다음에 다 쓴다. 
    • 이 때 마침표는 '연', '월', '일'이라는 글자를 대신하는 것이다. 
    • 마지막 '일' 뒤에 마침표를 쓰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'2025년 7월 21'이 되어, 쓰다 만 것이 된다.
  • 띄어쓰기: 요일 앞에서는 띄지 않는다.
    • 괄호는 앞말에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.


이와 같은 표기의 근거는 법령과 한글 맞춤법에서 찾을 수 있다.


1. 행정업무의 운영 및 혁신에 관한 규정(대통령령 제34518호)

제7조(문서 작성의 방법) 5항

문서에 쓰는 날짜는 숫자로 표기하되, 연ㆍ월ㆍ일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자리에 온점을 찍어 표시하며, 시ㆍ분은 24시각제에 따라 숫자로 표기하되, 시ㆍ분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사이에 쌍점을 찍어 구분한다. 다만,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. 

출처: 국가법령정보센터. (☞ 바로가기)


2. 한글 맞춤법 부록 제10항의 해설

■ 소괄호의 띄어쓰기: 여는 소괄호는 뒷말에 붙여 쓰고, 닫는 소괄호는 앞말에 붙여 쓴다. ‘제10항의 (4)’와 ‘제10항의 (6)’에서 여는 소괄호는 앞말과 띄어 쓴다.

출처: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문 규범. (☞ 바로가기)



댓글